회원가입
로그인
메뉴
전체기사
아침뉴스 3選
Issue Commentary
유튜브 기업이야기
페북세상
검색
검색
전체기사
아침뉴스 3選
Issue Commentary
유튜브 기업이야기
페북세상
마켓컬리 "그래도 공헌이익은..."(3)
코리아모니터 김수헌 기자
2022-02-14 18:02
공헌이익이 흑자이면서 그 규모가 큰 A사가 있습니다. 공헌이익이 100만원, 고정비는 80만원이면 영업이익은 20만원입니다. 공헌이익이 고정비를 다 회수하고도 20만원이 남아서 이익이 되었습니다. B사는 공헌이익이 적자입니다. 공헌이익 -20만원, 고정비 80만원이면 영업이익은 -100만원입니다. 공헌이익이 적자라 고정비를 전혀 회수하지 못할 뿐 아니라 적자규모를 확대시켰습니다. 공헌이익이 흑자이긴 한데 그 규모가 작은 C사를 볼까요?공헌이익 20만원, 고정비 80만원, 영업이익은 -60만원이 되겠죠. 공헌이익이 작지만 흑자여서 고정비를 일부 회수하기는 합니다. 그래서 영업손실은 60만원이 되었습니다. C사는 앞으로 매출액이 대폭
마켓컬리 "그래도 공헌이익은..."(2)
코리아모니터 김수헌 기자
2022-02-14 17:53
최대한 간단하고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물건을 제조하여 판매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은 크게 변동비용과 고정비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변동비는 매출의 증감과 연동하여 증감하는 것이니다. 재료비, 포장비, 운반비 같은 것입니다. 매출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이들 비용도 같은 방향으로 증감합니다.고정비는 매출의 증감과 상관없이 일정하게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예컨대 감가상각비, 임차료, 인건비 같은 것들입니다.(실제로는 어떤 비용들은 고정비와 변동비의 성격을 다 지니고 있기 때문에 혼합적인 성격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렇다면…매출액-변동비-고정비=영업이익 이라고 말할 수 있겠네요. 여기서 괄호를 한번 묶어 봅니다. (매
마켓컬리 "그래도 공헌이익은..."(1)
코리아모니터 김수헌 기자
2022-02-14 17:47
마켓컬리(법인명 컬리)가 올 상반기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지난 1월 중 상장예비심사 청구를 할 것이라 했는데, 이달로 연기되었다고 합니다마켓컬리 기업가치와 관련하여 4조원 이상은 되지 않겠냐는 분석이 있습니다. 2021년 11월 홍콩계 사모펀드 앵커에쿼티파트너스가 이 회사에 2500억원을 투자할 때 매긴 기업가치가 이미 4조원이었다는 거죠. 마켓컬리의 2021년 거래액(GMV, Gross Merchandise Volume)은 2조원을 돌파한 게 확실합니다. 그렇다면 GMV의 2배를 기업가치로 인정한 것으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매출액도 2조원이 넘는 것 같습니다. 마켓컬리 같은 100% 직매입 회사는 오픈마켓(입점업체 상품 거
카카오 현금배당 왜 53원밖에 안되나
코리아모니터 김수헌 기자
2022-02-11 21:55
카카오가 2월11일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을 공시하였습니다. 주주환원기간은 일단 3개년('21년~`23년)으로 정했습니다. 3년 넘어가면 불확실성이 커지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다른 기업들도 대개 3년 기준으로 주주정책을 발표합니다. 1.주주환원의 재원과 관련해서 카카오는 이렇게 밝혔습니다. '연간 별도기준 잉여현금흐름(FCF)의 15%~30%'여기서 말하는 별도기준이란 별도재무제표(종속회사를 연결처리하지 않은 카카오만의 개별재무제표) 기준이라는 말입니다. 카카오는 FCF 산식도 제시하였습니다. '영업활동현금흐름-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 부채의 변동(선수금, 미지급금)-CAPEX' 영업활동현금흐름에는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 부채의
CJ ENM 제작기능 안 떼내..자회사 통합재편 스튜디오社 신설
코리아모니터 김수헌 기자
2022-02-10 01:20
CJ ENM이 예능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 사업의 주요 제작기능을 물적분할하여 회사(스튜디오)를 신설하겠다는 계획은 접었지만, 스튜디오 설립 계획 자체는 유지한다는 취지의 공시를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물적분할 아닌 다른 방법으로 제작기능은 떼낸다는 것인가? 어떤 방법을 사용할까. 이런 궁금증이 확산되었는데요.코리아모니터에서 안테나를 가동해 본 결과, CJ ENM이 자체 보유한 주요 제작기능을 따로 떼내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주주가치 훼손 시비가 걸릴 가능성이 있는 조치는 아예 배제한다는 전제하에 제작스튜디오를 신설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겁니다. 그렇다면 인적분할로 전환할 가능성도 사실상 낮아집니다. 가장 가능성
물적분할 포기하되 컨텐츠제작 어차피 떼낸다?(2)
코리아모니터 김수헌 기자
2022-02-09 17:25
5.CJENM은 왜 이번에 이 같은 계획을 재검토 중이라고 밝혔을까요? 말은 재검토지만 물적분할은 사실상 물 건너 간 것으로 봐야겠죠. 오늘(2월9일) 공시에서 스스로 그 이유를 제시하였습니다. ‘주주들의 우려’와 ‘규제 환경의 변화’..주가하락에 따른 주주들의 반발이나 우려는 회사측도 어느 정도 각오하고 있었을 겁니다. 그런데 ‘규제환경 변화’는 당시엔 예측 못했겠죠. 바로 정치권의 움직임입니다. 대선 후보들이 일반주주 보호를 위한 시장개혁 공약에 물적분할 후 상장 금지를 공통적으로 담았습니다. 만약 물적분할 상장을 한다면 기존 모회사 주주에게 신주인수권이나 청약우선권을 부여하는 방안도 제시하였죠. 물적분할 상장에
물적분할 포기하되 컨텐츠제작 어차피 떼낸다?(1)
코리아모니터 김수헌 기자
2022-02-09 16:34
'물적분할'이라는 방법은 포기하되, 컨텐츠 제작사업은 어차피 떼낼 것이다?CJENM이 컨텐츠 제작부문을 신설법인화(스튜디오신설) 하기 위해 물적분할을 진행하려던 계획은 접은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경제신문의 단독 보도 이후 2월9일 오전 공시에서 “물적분할에 대한 주주들의 우려, 규제환경 변화 등 시장 상황 급변을 반영하여 재검토 중”이라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혔습니다. 행간을 보면 스튜디오 신설 계획까지 단념했다는 입장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스튜디오 설립'과 관련하여 다양한 방안을 재검토중이라고 하였으니, 설립은 어쨋든 하겠다는 것으로 읽힙니다. 향후 조치가 궁금해집니다. 인적분할을 제시할까요? 1.지난해 11월
카카오 김범수 9000억 탈세고발이 잘못된 이유(3)
코리아모니터 김수헌 기자
2022-02-07 07:24
어떤 합병을 '적격합병' 이라고 할까요? 적격합병의 주요 요건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합병하는 두 회사가 1년 이상 사업을 해 온 회사이면서 우리나라 법인이어야 합니다. 다음과 카카오는 이 조건을 충족하죠. 지급한 합병대가의 80% 이상이 주식이어야 합니다. 다음이 카카오 주주에게 지급한 합병대가는 100% 주식이었습니다. 그러니 이 조건도 충족합니다. 다음 주식을 지급받은 카카오의 주요 지배주주가 이 주식을 합병한 해(2014년도)의 말까지 보유하여야 합니다. 합병 당시 카카오 주요 지배주주라고 하면 김범수와 케이큐브홀딩스를 말합니다. 이들은 합병과정에서 지급받은 다음 신주를 2014년 말을 넘어 지금까지 보유하고 있습니
카카오 김범수 9000억 탈세고발이 잘못된 이유(2)
코리아모니터 김수헌 기자
2022-02-07 07:18
(2)편에서는 일반적인 합병시 발생하는 세금에 대해 최대한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합병은 피합병회사 카카오가 자기의 자산과 부채를 합병회사인 다음에 넘겨준다(양도한다)는 뜻입니다. 자산과 부채를 양도받은 다음은 양도대가를 카카오에게 지급합니다. 자산도 받았고, 부채도 받았기 때문에 그 대가는 순자산(자산-부채)만큼 주면 될 것입니다. 카카오는 합병과정에서 흡수소멸될 것이기 때문에 지급받은 양도대가를 주주(김범수, 케이큐브홀딩스 등)들에게 지분율대로 배분해야겠죠. 카카오의 장부상으로, 즉 재무제표상으로 자산이 1만원, 부채가 6000원이라고 해보죠. 양도하는 순자산(자산-부채) 장부가액은 4000원입니다. 다음
카카오 김범수 9000억 탈세고발이 잘못된 이유(1)
코리아모니터 김수헌 기자
2022-02-07 07:13
최근 투기자본감시센터(이하 센터)라는 시민단체가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을 탈세 혐의로 고발했죠. 여기저기 매체에 많이 보도되었습니다. 뉴스 보고 놀란 분들이 많았을 겁니다. 센터가 주장하는 탈세 금액이 8800억원이나 된다는 것, 그리고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는 소식이 놀라움을 더했죠. 그렇잖아도 카카오페이 경영진의 스톡옵션 주식 대량매도 사건과 쪼개기 상장 논란 등으로 카카오그룹에 대한 비난이 쏟아지고 있는 상황이니, 엎친 데 덮친 격이었죠. 증권시장에서도 "이게 뭔가?"라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음이 느껴졌습니다. 센터의 고발 내용은 근거가 충분할까요? 경찰이 수사에 들어갔다는 보도는 사실일까요? 아래 그림
처음
이전
11
12
13
14
15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ASK, RPK, L/F, Yield..저가항공 지표 알아보기
2
라덕연이 기여한 것
3
소송하라는 KISCO홀딩스, 노리는 것은?
4
회장들의 시간이 왔다..자본시장법 적용 가능할까
5
라덕연이 기여한 것
6
(5.25)반도체 공급과잉 끝이 보인다
7
(5.18)'켈리' 흥행..하이트 '맥주 1위' 되찾나
8
(5.26)반도체 빙하기 녹인 챗GPT 특
9
(5.30)반도체에 꽂힌 외국인
10
(5.24)기준금리 3연속 동결 유력